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91)
Xistory 자이스토리 미적분 1 수능대비 775제 (2016년) 수능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으니, 미적분1 개념정리하고 문제 푸는데 자이스토리문제로 푸는데기출 문제부터 차근차근 접근하여 문제 푸는거 좋은거 같아요~ 자이스토리가 수능과 모의고사문제 등을 해설과 함게 잘 정리해 놓았네요~ 미적분1 공부하는데 자이스토리만 한 것도 없는 거 같습니다. 짜임이 잘 구성되어 있고 글씨도 작지 않고 문제 풀 수 있는 공간까지 있어서 질리지 않게 문제를 풀 수 있는 거 같습니다. Ⅰ 수열의 극한A 수열의 극한 Aa 꼴의 극한값 Ab 무리식의 극한값 Ac 등비수열의 극한값 Ad 과 의 관계를 이용한 수열의 극한 Ae 수열의 극한의 활용(대소 관계, 치환) Af 좌표평면과 수열의 극한 Ag 무한히 반복되는 도형에서의 극한값 최고난도 유형 Review B 급수 Ba 급수의 정의와 계산 ..
왜 우리는 행복을 일에서 찾고, 일을 하며 병들어갈까 노동, 공명(共鳴)의 경험과 소외(疏外) 사이 행복을 일에서 찾는다. 먼 옛날 우리 선조들은 그랬을지 몰라도 산업사회의 기계부품으로 전락한 오늘날에는 더 이상 일에서 행복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는 분업화와 관계가 깊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 사람 혹은 소수의 협업에 의존하는 과거의 도제 시스템 혹은 장인 시스템하에서는 하나의 작품을 만든다는 기쁨이 분명히 존재한다. 이를 저자는 “일을 통해 원하는 것을 얻고 기쁨을 만끽하는 곳에서, 또한 하고 있는 일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재인식하는 곳에서, 그리고 한 일에 대해 인정과 존중을 받는 곳에서 일은 ‘공명(共鳴)의 경험’이 된다.1)”라고 표현하고 있다. 하지만 분업화는 일하는 열정, 즐거움 등을 빼앗아 버린다. 이렇게 노동으로부터 소외(疏外)된 인간은 이제 ..
삶을 위한 철학수업 #1 자기가 믿는 무언가를 향해 삶에서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을 존경한다. 그것이 그의 삶을 좌우할 만한 중요한 선택이라면 더욱 더 존경하게 되고, 그것이 타인을 대하는 태도로 나타날 때 따뜻함을 느낀다. 책을 보며 이 책을 쓴 작가님이 그런 사람이 아닐까 생각했다. - 자신이 옳다고 믿는 것을 그대로 실행하며 사느냐고 누가 물었을 때, "그렇진 못하지만 그렇게 하려고 애쓰며 산다"고 대답할 수 있다면, 그것이 공부하는 학인의 삶이라고 나는 믿는다. #2 그것이 내가 그어 가고 싶은 삶의 결과 비슷하다면 한층 더 반갑고 감사하다. 살면서 삶의 결을 닮아가고 싶은 사람을 만나는 것이 얼마나 감사한 일인지, 그래서 책읽기의 위대함을 다시 느낀다. 방향이 같은 사람이 곁에 있다는 것은 작가님이 말했던 일생일대..